티백 차의 재발견 차가운 유리컵 ![]() 티백을 오래 담가두면 쓴맛만 더해진다_ 진하게 마시려는 욕심에 티백을 너무 오래 담가두고 있지는 않은지. 오래 담가둔다고 맛이 진해지는 것은 아니다. 오히려 쓴맛만 더해지는 것. 티백 차는 빨리 우러나도록 잘게 부수는 등의 가공을 한 상태라 잎차보다 더 빨리 우러난다. 따라서 40초~1분 30초 정도 우리면 적당하다. 티백을 우리는 동안 작은 접시나 찻잔 받침을 덮어놓을 것_ 앞에서도 말했듯이 차 맛은 물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. 차의 향과 맛이 잘 우러나도록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, 그래서 티백 차를 우리는 동안 작은 접시 등으로 컵을 덮어놓는 것이 좋다. 찻물을 짜내지 말 것, 쓴맛이 우러난다_ 적당히 우린 티백은 물속에서 좌우로 두세 번 아주 가볍게 흔든 다음 그대로 꺼낸다. 티백을 상하로 흔들거나 티백을 꼭 눌러 찻물을 짜내는 것은 잘못된 방법. 이렇게 하면 오히려 쓴맛만 더해진다. 게다가 티백을 상하로 흔들면 공기 중에서 찻잎이 산화되어 잘 우러나지도 않고 맛도 달라진다. 한 번 우려낸 티백은 맛이나 향은 거의 없이 쓴맛만 남은 상태므로 또다시 우려 마시지 않는 게 좋다. |
![]() ![]() 베이커리 브랜드마다 녹차옥수수빵이 개발되었을 정도로 녹차와 옥수수는 궁합이 잘 맞는 재료다. 옥수수도 녹차와 같이 찬 성질을 띠기 때문에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마시면 좋고, 시원하게 마시면 갈증 해소에 가장 좋다. 한식당 등에서 물 대신으로 많이 응용하는 방법으로, 맛은 녹차 맛이 나면서 향은 옥수수 향이 나서 따뜻하게 마셨을 때 기분이 은은해진다고. 만들기 : 녹차 티백을 우린 것에 옥수수 티백이나 옥수수알 10g(15알 정도)을 그대로 넣는다. 옥수수 티백을 사용할 경우에는 처음부터 함께 넣고 우려내는 것이 좋다. 마셔보니 : 옥수수알을 넣어 맛이나 향이 얼마나 날까 싶었는데, 물에 넣어서 2~3회 휘휘 젓기만 했는데도 구수한 옥수수의 향이 정말 은은하게 퍼진다. 현미녹차보다 덜 텁텁하고 향기는 더 구수하다. ![]() 레스토랑 컨설턴트로도 활동하는 노다 씨가 어느 한식당의 메뉴를 개발하면서 만들어낸 것이 바로 누룽지녹차다. 물 대신 내주던 이 누룽지녹차는 누룽지에 녹차 티백을 함께 넣고 끓인 것으로 구수하면서도 개운한 느낌이 나는 것이 특징. 이번에는 더 간단하게 마실 수 있도록 누룽지 대신 비슷한 맛을 내는 둥굴레차를 섞어봤다. 만들기 : 녹차 티백을 우릴 때 숟가락으로 1~2회 정도 저으면 조금 더 빨리 우려진다. 우린 다음 둥굴레차 티백을 넣고 좌우로 3~4회 가볍게 흔든다. 마셔보니 : 두 가지 맛이 어울릴까 싶었는데, 생각 외다. 녹차의 밋밋한 맛이 둥굴레차 맛과 섞이면서 좀 더 구수해지고 목 넘김이 굉장히 부드러워진 것. 식어도 맛있기 때문에 이렇게 섞어 물처럼 마시면 좋을 듯. ![]() ‘초보자를 위한 찻집’이라는 슬로건을 걸고 최대의 커피 소비국인 미국에서 녹차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뉴욕 맨해튼의 ‘티니’. 이 녹차 카페에서는 커피의 자극적인 향과 맛에 익숙한 미국인들이 녹차 맛에 빠져들게 하기 위해 녹차에 레몬즙이나 멜론즙을 몇 방울 떨어뜨린 메뉴를 개발했다고 한다. 만들기 : 녹차를 우린 다음 슬라이스한 레몬 한 조각(혹은 레몬즙 2큰술)을 넣고 10초간 두었다가 마지막에 꿀 1큰술을 넣는다. 레몬을 찻잔 가장자리에 문지르기만 해도 맛을 즐길 수 있다. 마셔보니 : 레몬즙을 넣자마자 푸른빛을 띠던 녹차가 맑게 변한 것이 신기하다. 레몬이 약간 시큼한 맛을 더해, 생각보다 녹차 맛이 좋아진 것 같지는 않다. 입 안이 개운해지는 느낌도 별로. 아무래도 꿀을 여기에 더 섞는 게 낫겠다. ![]() 한방에서 설사할 때나 장염일 때 추천하는 민간요법 중 하나가 바로 꿀녹차다. 녹차는 장 운동을 활발히 해서 소화를 촉진하고 꿀은 위를 보호하고 장이 영양분을 잘 흡수하도록 돕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, 설사할 때 함께 먹으면 꿀이 설사균을 없애고 녹차의 타닌 성분이 변을 굳게해 설사를 멈추게 한다는 것. 소화가 잘 안 되는 임산부들이 마시면 특히 좋다고 한다. 만들기 : 녹차 우린 것에 꿀 2큰술을 넣어 숟가락으로 젓는다. 따뜻할 때 마시는 것이 좋다. 마셔보니 : 효능도 효능이지만 녹차 특유의 쌉싸래한 맛을 싫어하는 사람을 위해 가장 추천할 만한 방법. 따뜻하게 마시면 달콤하면서도 약간 씁쓸한 것이 정말 맛있다. 이구동성 가장 좋다고 대답한 맛. |
![]() ![]() 일반적인 티백 홍차도 시나몬 스틱으로 젓기만 해도 홍차 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계피차로 업그레이드 된다. 계피차는 몸을 따뜻하게 해주기 때문에 홍차 전문점에서 가을~겨울에 가장 인기가 좋은 종류. 게다가 육류를 먹고 나서 기름진 입 안의 입가심용으로 가장 추천할 만하다고. 더 진한 계피 향과 맛을 즐기고 싶다면 계핏가루를 녹인다. 만들기 : 따뜻한 물(180cc)에 홍차 티백 한 개를 우린 다음 통계피 한 조각을 1분 정도 담갔다가 꺼낸다. 통계피는 반드시 찬물에 깨끗이 씻는 것을 잊지 않도록. 마셔보니 : 일반 계피차보다 계피 향이 더 짙어서 홍차의 향이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. 하지만 홍차의 맛은 더 진해지는 것 같고, 특히 향이 너무 좋다. 계피 향 때문인지 몸이 따뜻해지는 느낌을 받는다. 역시 추운 날 마시면 좋을 듯. ![]() 러시아에서 홍차에 딸기잼을 넣어 마신 것이 유래가 되어 탄생했다는 러시안티. 러시아에서는 아주 고급차에 속한다고. 케이크나 쿠키와 잘 어울리며, 특히 저녁 티타임에 좋다. 달콤한 맛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메뉴. 만들기 : 홍차 우린 물에 유자차를 1큰술 넣어 가볍게 젓는다. 유자차 대신 딸기잼이나 마멀레이드처럼 설탕에 절인 것은 어느 것이든 넣어도 된다. 마셔보니 : 홍차 고유의 떫떠름하고 쓴맛이 거의 없이 달콤하고 부드러운 맛이 난다. 홍차의 쓴맛을 싫어하는 사람이 마시기에 가장 적당한 듯. 여러 가지 과일잼을 섞어봐서 내 입맞에 딱 맞는 것을 고르는 것도 좋을 듯. 초보자는 2~3큰술은 넣어 달콤하게 마셔야 더 맛있게 느껴진다. 과일 향이 나서인지 설탕 시럽 넣은 것보다 더 맛있다. ![]() 싸이월드에서 「난 멋지게 늙어간다」라는 페이퍼를 발행해 『명품 다이어트&셀프 휘트니스』라는 책까지 낸 ‘명품 아줌마’가 뱃살을 빼기 위해 마신다는 방법. 티백 홍차에 생강즙을 넣어 마시면 몸이 후끈 달아오르면서 혈액순환이 잘되고 아랫배가 따뜻해져, 오랫동안 물처럼 꾸준히 마시면 아랫배가 쏙 들어가는 경험을 하게 된다고. 만들기 : 홍차 우린 것에 생강(10g)을 저미거나 즙을 내어 넣는다. 생강가루를 넣으면 향과 맛이 더 깊어진다. 마셔보니 : 생각만큼 후끈 달아오르는 느낌은 없지만 생강의 향이 은은하게 나서 고급차 같은 기분이 드는 건 사실. 홍차는 원래 시럽 같은 걸 넣지 않고 차라리 쿠키 등과 함께 먹는 게 정석이지만 그래도 단맛 없는 홍차는 초보자에겐 그리 맛있어 보이진 않는다. 그래서 설탕에 절인 생강을 넣어 마시면 좀 낫다. ![]() 홍차에 우유를 넣는 것은 영국에서 유래된 먹기 방법인데 ‘밀크티’라고 불리면서 홍차 중에서 가장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메뉴다. 우유가 차의 떫은맛을 중화시키기 때문에 가장 무난하게 즐길 수 있는 방법. 요즘에는 아예 밀크티가 티백 제품으로도 나오지만 본래의 맛을 느끼려면 아무래도 홍차에 우유를 섞는 기본적인 방법이 낫다. 만들기 : 우유는 데우지 말고 10cc(4큰술)를 천천히 넣은 다음 숟가락로 두세 번 젓는다. 기호에 따라 설탕 시럽을 넣을 것. 꿀을 넣으면 색이 탁해지고 맛도 더 떫어진다. 마셔보니 : 홍차의 떫은맛을 싫어하는 사람에게 가장 적당하다. 아주 약간 쌉쌀한 맛이 느껴지기는 해도 우유 때문에 입에 닿는 느낌이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꽤 짙게 난다. |
출처 : 차맛어때
글쓴이 : 희말라야 원글보기
메모 :
'茶道美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차 찌꺼기 활용법 (0) | 2006.01.17 |
---|---|
이슬차 (0) | 2006.01.15 |
제주도 무농약 귤피차 세일(1.10~20일까지) (0) | 2006.01.10 |
Tea 4 health (0) | 2006.01.10 |
[스크랩] 은행잎 차 (0) | 2006.01.09 |